학과 목표
-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정보보안기술을 연마하며,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에 대한 침해 대응 및 관제, 설치·운용, 유지보수 능력을 배양
- AI, 클라우드, 5G·6G, AIoT 등의 차세대 네트워크를 이해하고, 사이버 공격이나 해킹, 바이러스 등의 피해를 경감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보안에 대한 설정·운영 등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보안 전문가 양성
교육내용
-
네트워크 장비 및 IT의 기본 지식 이해
-
컴퓨터 네트워크의 분석과 보안 프로그래밍 학습
-
인공지능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과 AWS 보안기술
-
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공격의 회피 및 침해 대응 보안기술
-
네트워크 보안 설비의 구축 및 관제 등의 대응 기술
주요교과목
이론
네트워크일반, 네트워크보안, 정보보호기술, 어플리케이션보안, 클라우드보안, 정보보호관리체계, 현대암호
실습
네트워크구축, 네트워크분석, AWS서버보안, 웹프로그래밍, AI보안관제, 네트워크취약점분석, 프로젝트
교과편성
구분 | 계 | 교양교과 | 전공이론 | 전공실습 |
---|---|---|---|---|
계 | 102학점 | 15학점 | 30학점 | 57학점 |
필수 | 24학점 | 4학점 | 6학점 | 14학점 |
선택 | 78학점 | 11학점 | 24학점 | 43학점 |
실습장
1단계로 시스코 시스템즈 네트워크 교육프로그램(CNAP)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축 실습장의 환경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대한 트래픽 분석 및 모니터링을 실습한다. 2단계로 서버 및 어플리케이션의 테스트 배드를 구축하여 DDos와 네트워크의 성능을 계측하도록 구축하며, 3단계에서 종합적인 테스드 배드를 구축하여 소스코드 분석 및 결합분석, 패턴분석 등 트래픽 검증을 할 수 있도록 현장의 동일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학생이 정보보안에 관한 전문지식과 다양한 체험 실습을 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프라 환경을 제공할 예정입니다.
졸업 후 진로
취득자격증
- 정보보안산업기사
- 정보통신산업기사
- CCNA 국제 공인자격
- 정보처리산업기사
- 사무자동화산업기사
- 네트워크관리사
취업분야
ICT 관련 기업
KT, SKT, LG U+, SK브로드밴드 등 자회사, 협력기업, 정보보안 및 관제회사, 네트워크 구축·유지관리 회사 등
공공기관
정부부처, 지방자치단체, 공공기관 및 유관기관 등